Algorithm Problem/Python
![[python] 백준 - 15684. 사다리 조작](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c8JOAm%2FbtqEvhor7lg%2FAAAAAAAAAAAAAAAAAAAAAOTTcKWZGBQRY8NRVQRZQJyzyEDBBe6HO6hVd3g01lUP%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39739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cRvM1xUuoTbY8qHcgCx8uV6%252BY%252FA%253D)
[python] 백준 - 15684. 사다리 조작
문제 해결 부르트포스 1. 크게 다리를 놓는 것과 사다리를 타는 것으로 나눈다. 2. 먼저 시작점은 (1, 1)이고 out of index 문제를 미리 방지하기 위해 배열을 적당히 넉넉하게 만들어준다. 3. 사다리를 0개 ~ 3개 짓는 경우를 만들어주고, 완전탐색으로 모든 경우의 수를 다 구해준다. 4. 그때 그때 마다 사다리타기를 해 결과 조건에 부합하는 지 확인해준다. -> 파이썬은 항상 시간초과 문제와의 싸움이다. 이번에도 pypy로 통과했다. 오늘은 시작부터 힘들었다. 문제 이해부터 예제 이해까지.... 하지만 역시 이웃님이 해결해줬다. 🔨 소스 코드 # 사다리 타기 def down(): # 1,1 부터 시작! for start in range(1, N+1): y = start # 시작점 인덱스를..
![[python] 백준 - 1753. 최단경로](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niZu3%2FbtqErLx7g2z%2FAAAAAAAAAAAAAAAAAAAAAA-0Yc-wUxXIEG0gU3EcFdE12D1b7EGsYJ0o_EBbzLKd%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39739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pb%252FxgLK36u%252BaYdL3rDeA5ZAdJ%252F8%253D)
[python] 백준 - 1753. 최단경로
문제 해결 1. 방향이 있는 그래프에서 최단거리를 구하는 문제 | 보통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2. 인접리스트, 가중치 배열, 힙큐를 준비한다. (1) 인접행렬보다 인접리스트가 조금 더 빠르다(?) (2) 가중치 배열: 인덱스 번호에 도착할 때의 가중치를 항상 최솟값으로 업데이트 해준다. (3) 힙큐는 항상 최솟값을 리턴해준다. 3. ex)a - c 와 a- c 로 갈 때의 가중치를 항상 비교하여 최솟값을 넣어줘야 한다. -> selected배열(출발했었는지 확인)을 만들어서 했는데 어짜피 단방향이라 필요가 없었다. python으로 제출 시 시간초과가 나서 pypy로 제출했더니 통과 했다. python으로 통과한 사람과의 코드를 비교해봤는데 차이가없었다..... 후😭 왜때문인지 모르겠다. 소스 ..
[python] 백준 - 1759. 암호 만들기
문제 해결 1. 암호는 알파벳 순서로 짜야하므로 오름차순 정렬 2. 모음의 포함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aeiou를 생성 3. 자음이 1개이상, 모음이 2개이상일 때 result에 추가 소스 코드 def bt(idx, word): # 암호의 길이가 L이 됐을 때 if len(word) == L: vowel_cnt = 0 consonant_cnt = 0 for w in word: if w in vowel: vowel_cnt += 1 else: consonant_cnt += 1 # 자음이 1개 이상, 모음이 2개 이상일 때만 result에 추가해 준다. if vowel_cnt >= 1 and consonant_cnt >= 2: result.add(word) break return # 함수에 들어갈 때 이전 선..
![[python] 백준 - 7568. 덩치](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dHr6sR%2FbtqEn7Oxsnn%2FAAAAAAAAAAAAAAAAAAAAANKyKHUqbI2Pn2H_LARiy2yIuv60_nHKfOP50zKJUtW2%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39739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MtE6wG8eBcJFM0TldQ%252B%252F04KoYi4%253D)
[python] 백준 - 7568. 덩치
문제 해결 1. 완전탐색을 이용해 풀 수 있는 간단한 문제 2. 단순하게 자신보다 덩치가 큰 사람들의 숫자를 세어준다. -> 처음에 정렬하는 것으로 접근 방법을 선택해서 많은 시간을 날렸다.....후💨 소스 코드 N = int(input()) hulk = [list(map(int, input().split())) for _ in range(N)] # 자신보다 큰사람 숫자세기 cnt_list = [0] * N for i in range(N): cnt = 1 # 등수는 1등부터 있으므로 1부터 시작 for j in range(N): # 무게와 키가 자신보다 크다면 +1 if hulk[i][0] < hulk[j][0] and hulk[i][1] < hulk[j][1]: cnt += 1 else: cnt_lis..
![[python] 백준 - 1922. 네트워크 연결](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blOxgn%2FbtqEkNJM5P7%2FAAAAAAAAAAAAAAAAAAAAAB2mNwgX0GRO401pe6MfBGsqY3mWLn-9dBxahsEwk3De%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39739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t%252FRoDvZ6TgM6gnm0Gw7GS0G%252BJW8%253D)
[python] 백준 - 1922. 네트워크 연결
문제 해결 1. 오늘 배운 최소 신장 트리(MST)를 사용하는 그래프 문제다. ( + heapq 모듈 사용 ) 💨 그래프에서 사이클을 제거하고 모든 노드를 포함하는 트리를 구성할 때, 가중치의 합이 최소가 되도록 만든 경우를 최소신장트리라고 한다. (1) 먼저 간선과 가중치를 인접리스트로 만든다. (2) key, mst, pq | 최소 가중치를 갱신하는 배열, 방문 배열, 힙큐( 최소값을 뽑는 모듈 ) 2. 시작점( 노드중 아무거나 )을 힙큐에 넣어주고 시작 - 이 문제에서는 모든 노드를 연결할 수 있다. (1) 힙큐 안에서 가중치가 가장 낮은 정점을 pop (2) 방문했는지 확인 | 이미 방문을 했다면 continue 를 통해 힙큐에서 다시 뽑고, 아니라면 True로 바꿔주고 가중치를 결과에 더해준다...
![[python] 백준 - 2644. 촌수계산](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YVFy4%2FbtqEiMD19FM%2FAAAAAAAAAAAAAAAAAAAAAF5TwezAFavnK-Gspdin_whdELTGF7SjUrw9meEPgcUv%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39739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5VGjc9vXaxEvgl7bbL01zq7LrHw%253D)
[python] 백준 - 2644. 촌수계산
문제 해결 1. 노드간의 최단거리를 구하는 그래프에 관한 기본적인 문제이다. 2. 먼저 주어진 부모자식들 간의 관계를 가지고 인접리스트를 만든다. 3. visit 배열을 만들어 방문 여부를 가지고 DFS 재귀함수를 진행한다. (1) 현재 노드에 인접한 노드를 for문을 통해 뽑아주고, (2) 만약 인접한 노드가 아직 방문하지 않은 상태라면, 그 노드로 이동 - 재귀 (3) 이동한 노드가 구해야하는 노드라면 방문한 노드들의 갯수를 세어주고 결론을 도출. -> 쉬운 문제라고 생각했는데 한참동안 '틀렸습니다'를 얻었다. 이번에도 역시 이웃님의 도움을 받았다. `촌수관계를 나타내지 못하면 -1을 출력해라`....... 문제를 잘 읽어보는 습관을 들여야겠다. 소스 코드 n = int(input()) a, b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