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o2kim
맞왜틀
deo2kim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 CS
      • Algorithm
      • Data Structure
      • Network
      • DB
      • OS
    • Algorithm Problem
      • Python
      • JavaScript
    • Programming language
      • Python
      • JavaScript
    • Tool
      • Jquery
      • React
    • 개발
    • Infra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공지사항

인기 글

최근 댓글

최근 글

티스토리

반응형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deo2kim
CS/Network

GET vs POST

GET vs POST
CS/Network

GET vs POST

2020. 10. 12. 20:03
반응형

GET vs POST

  • GET
    • key와 value 형태로 주소창의 URL뒤에 붙어가는 데이터
      • 길이에 제한이 있다.
      • 데이터가 노출되어 보안에 취약하다.
    • 상대적으로 빠르다.
    • 주로 데이터를 가져와서 사용자에게 보여줄 때 사용한다.
    • 같은데이터를 보내면 항상 같은 응답이 온다. (캐시)
  • POST
    •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바디에 담아서 서버로 보낸다.
      • 문자열 뿐만 아니라 다른 객체의 값도 전송 가능 
      • 길이에 제한이 없다(하지만 상식적으로 너무크면 안됨)
      • 데이터가 숨겨져있어 보안에 유리하다.
    • 상대적으로 느리다.
    • 주로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수정할 때 사용한다.
    • 같은 데이터를 보내도 받는 데이터가 달라질 수 있다.
반응형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새창열림)

'CS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와 HTTPS  (0) 2020.10.16
쿠키와 세션(Cookie / Session)  (0) 2020.10.15
프로토콜(Protocol)  (0) 2020.10.14
HTTP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0) 2020.10.13
OSI 7 계층 (OSI 7 Layer)  (0) 2020.10.07
  • GET vs POST
'CS/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쿠키와 세션(Cookie / Session)
  • 프로토콜(Protocol)
  • HTTP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 OSI 7 계층 (OSI 7 Layer)
deo2kim
deo2kim
코딩 기록하기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